주메뉴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1744679695197.jpg

각별한 실패

L'ECHEC

클라로(Claro) , 이세진

248쪽, 120*188, 18,000원

2025년 04월 15일

ISBN. 978-89-324-7548-6

이 도서의 판매처

 

실패의 연습만이 가능성의 장을 넓혀 준다. 사무엘 베케트의 말마따나 더 낫게실패하는 것이 중요하다. 창작은 성공을 논할 수 없고 오히려 어둠 속에서 빛의 고백을 우려내는 것에 가깝기 때문이다. 위협, 타협, 막다른 난관은 저주가 아니라 행운이다.

토머스 핀천, 살만 루슈디, 휴버트 셀비 주니어를 프랑스어로 옮긴 번역가이자 소설가인 저자 클라로는 이 성찰적 에세이에서 카프카, 콕토, 페소아를 소환하면서 실패라는 현상의 다양한 틈새를 깊이 들여다본다. 섬세한 감수성과 유머를 구사하면서 자신의 실패 목록까지 작성해 보이는 저자는 우리의 한계와 상처를 다시 생각하고 그것들의 효용을 고려할 기회를 던져 준다.

실패는 작가의 은밀한 희열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허먼 멜빌의
모비딕초판은 600부도 채 팔리지 않았다. 프란츠 카프카는 대부분의 원고를 미완성 상태로 두는 편을 택했다. 페르난두 페소아의 편지에는 자신을 실패자로 선언하고 한탄하는 대목이 한두 번 나오는 게 아니다. 이들뿐인가? 글을 읽고 쓰고 옮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실패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실패란 무엇인가? 저자가 정의한 긴 목록에 따르면 실패는 잠들기가 두려울 때마다 꾸는 꿈이고, “시차(視差) 오류에 근거한 확신이며, “우리가 제기하기를 잊은 문제의 답이다. 글을 다루는 이에게 실패하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며, 실패의 이유도 하나가 아니다. 저자는 이렇게 단언한다. “나는 글을 쓴다, 고로 나는 좌초한다.”

각별한 실패는 이처럼 피할 수 없는 ‘faillite(파탄, 좌절)의 암담하고도 구원적인 면에 비추어 글쓰기, 번역, 읽기와 같은 활동을 깊이 사유하는 책이다. 실패를 소득 없고 기만적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시적 우연으로 생각하느냐, 글을 다루는 활동의 근원적 토대이자 존재 이유, 원동력이자 지평으로 생각하느냐에 따라 작가의 운명이 달라진다고 저자는 말한다. 프랑스어 동사 ‘faillir(그르치다)에는 ‘faille(균열)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글을 읽고 쓰는 이는 이 빈틈으로부터 미묘한 쾌감을 발견해 내는 자이기 때문이다. 작가에게 실패란 일상적으로 감당해야 할 그의 몫,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실패는 그의 길티 플레저(guilty pleasure)이자 은밀한 희열이다.
 

카프카, 콕토, 페소아의 실패하는 글쓰기

글을 쓰는 일은 암중모색의 연속이다
. 늘 위태롭고 불안하며 완성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저자가 말하듯이 모든 글쓰기에는 두 갈래의 길이 있다. 실패에 저항하여쓸 것인가, 실패와 더불어쓸 것인가. 이 책에서 각별히 살펴보는 카프카, 콕토, 페소아는 후자의 길을 걸었고 그런 점에서 그들을 위대한 실패자로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저자는 이들 작가를 실패의 세 가지 초상으로 거론하며, 카프카의 지연(遲延)에 대해(그는 자신의 글을 끊임없이 다시 쓰거나 아예 포기했다), 콕토의 실패감에 대해(그는 실패감을 실패 그 자체보다 훨씬 더 격렬하게 받아들였다), 페소아의 무기력에 대해(그의 다극성 무기력은 놀라운 폭발력을 지닌 행진이었다”) 지적이면서도 섬세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카프카, 콕토, 페소아의 사례는 글쓰기가 끊임없이 우회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실패만이 진정한 창작의 조건임을 알려 준다. 서점원과 출판 교정자, 편집자로도 일한 저자는 이러한 지연과 실패감, 무기력이 글을 다루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는 과정이며 스스로도 겪고 있는 문제임을 솔직하게 고백한다. 그는 자신을 포함해 주변에서 수많은 글쓰기의 실패를 목도하고 있으며 그럼에도 더 나은실패를 경험해 보기를 권유하는데, 각 장 말미에 삽입된 별면은 실패를 정의하고, 목록을 작성하고, 일화를 기록함으로써 작가이자 번역가로 살아가며 끊임없이 실패하는 저자 자신의 자전적 에세이로도 읽힌다.

 

 

1 풀스 메이트
막간 1 | 실패란 무엇인가 (1)
2 물, 빵, 민들레에 대하여
막간 2 | 실패란 무엇인가 (2)
3 위위와 마법의 화산
막간 3 | 실패로 시작하기
4 토기장이와 라스타쿠에로
막간 4 | 나의 실패 목록 (1)
일화 1 | 다리: 어떤 실패
5 실패의 첫 번째 초상: 카프카(그리고 벤야민)
막간 5 | 나의 실패 목록 (2)
6 마멋 소년단의 모호한 춤
막간 6 | 실패 대부족
일화 2 | 다리: 어떤 실패
7 실패의 두 번째 초상: 페소아
상영 1 | 실패의 현기증 (1)
8 실패의 세 번째 초상: 콕토
상영 2 | 실패의 현기증 (2)
일화 3 | 다리: 어떤 실패
9 대천사의 회초리와 고르차코프의 촛불
막간 7 | 불투명의 리토르넬로
10 코듀로이에 싸인 후세
막간 8 | (근사치의) 시편
일화 4 | 다리: 어떤 실패
11 책의 사적인 달력

저자

클라로

프랑스 파리 출신의 작가이자 번역가. 서점원과 출판 교정자로 일했고, 현대 영미 문학을 프랑스어로 옮기는 번역가로 활동하면서 토머스 핀천, 살만 루슈디, 휴버트 셀비 주니어 등의 작품을 옮겼다. 『마담 보바리』, 『일렉트릭 체어』 등 30여 권의 소설과 에세이집을 펴냈으며, 현재 앵퀼트 출판사의 편집주간으로 일하고 있다.

역자

이세진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프랑스 문학을 공부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우리에겐 논쟁이 필요하다』, 『명상록 수업』, 『아직 오지 않은 날들을 위하여』, 『여섯 개의 도덕 이야기』, 『해피 크라시』, 『선택』, 『나는 생각이 너무 많아』, 『기후정의선언』 등이 있다.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