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1602649646358.jpg

을유세계문학전집_19

아우스터리츠

Austerlitz

W. G. 제발트 ,안미현

352쪽, B6, 12,000원

2009년 03월 20일

ISBN. 978-89-324-0349-6

이 도서의 판매처

어린 시절 죽음을 피해 외국에 보내진 소년 그가 찾아 나선 망각 저편의 사라진 세계 히틀러가 유럽을 장악했을 때 유대인 어린아이를 영국으로 피신시키는 구조운동이 일어났다.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영국은 약 1만 명의 유대 어린이를 받아 주었는데, 네 살이었던 아우스터리츠 역시 그때 영국으로 건너왔다. 양부모는 그의 출신에 대해 아무것도 이야기해 주지 않았다. 그리고 소년 자신도 20세기 역사에 대해 아무것도 알고 싶지 않았다. 뒷날 건축사가가 된 아우스터리츠는 이제는 꿈처럼 막연한 기억을 더듬어 자신의 유년 시절의 진실을 찾아 나서는데......

 

이 소설은 이름이 나오지 않는 주인공 ‘나’가 벨기에에서 늙은 건축사가 아우스터리츠를 만나면서 그의 이야기를 듣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100여 개의 흑백 사진 및 이미지가 본문에 수록되어 독자들에게 특이한 독서 체험을 선사한다. 특히 어린아이가 궁정복 차림으로 찍혀 있는 표지 사진은 본문(202페이지)에도 나오는 것으로 소설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우스터리츠』의 모든 번역판은 독일어판 원서와 마찬가지로 이 사진을 표지로 쓰도록 되어 있다.) 아우스터리츠(Austerlitz)라는 이름은 나폴레옹 시대의 격전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역자도 지적하듯이 이 아우스터리츠라는 역사적인 이름은 소설에 등장하는 마리엔바트의 아우쇼비츠(Auschowitz) 샘물, 테레지엔슈타트의 바우쇼비츠(Bauschowitz, 체코어로 보후쇼비체) 분지 등과 함께, 소설 속에서 단 한 번도 언급되지 않는 아우슈비츠(Auschwitz)를 암시할지도 모른다.

아우스터리츠


해설: 기억의 형식으로서의 문학
판본 소개
W. G. 제발트 연보

저자

W. G. 제발트

제발트는 우리에게 낯선 이름이지만 오늘날 독문학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작가 중의 한 사람으로, 제2차 세계대전 후 최대의 산문 작가라 불릴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제발트는 1944년 베르타흐에서 유리 제조업을 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등에서 수학한 뒤 영국에 건너가 그곳에 정주하면서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에서 독일 문학을 가르쳤다.
제발트의 문학적 명성은 서서히 그러나 확고한 궤적을 그리며 상승해 갔다. 1988년 첫 시집 『자연에 따라. 근원시』를 발표한 이래 산문집 『현기증. 감정』(1990), 『무서운 고향. 오스트리아 문학에 관한 에세이들』(1991), 중편소설집 『이민자들』(1992)을 출간하면서 수전 손택 등의 극찬을 받으며 먼저 미국과 영국에서, 뒤이어 독일에서 동시대에 찾아보기 힘든 거장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는 베를린 문학상, 요하네스 보브로프스키 메달, 노르트 문학상, 윈게이트 픽션상 등 수많은 상을 받았고, 1997년에는 전 작품에 대하여 하인리히 뵐상을, 이어 하이네상, 요제프 브라이트바흐상을 수상했다.
1999년, 2차 대전 당시 연합군의 공습에 대하여 왜 독일 작가들은 침묵하고 있는 것일까라는 문제를 제기한 『공중전과 문학』을 발표하며 논란의 중심에 선 뒤, 2001년 고향을 잃은 유대 소년의 기억의 복원 과정을 추적한 장편소설 『아우스터리츠』를 발표하며 전 세계적인 절찬을 받았다.
제발트는 “생존해 있는 가장 위대한 작가”로 불리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 칭호는 곧 부적당한 것이 되었다. 그 해 12월, 제발트는 교통사고로 영국 노포크에서 숨을 거두었다. 스웨덴 노벨상 위원회의 한 인사는 제발트가 생존해 있었다면 노벨문학상이 수여되었을 것임을 시인한 바 있다.

역자

안미현

한국외국어대학과 동대학원에서 독문학을 전공했다. 독일 튀빙겐 대학에서 레싱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목포대학교 독일언어문화학과 교수이다. 「레싱의 초기 작품에 나타난 구조적 관련성에 관한 연구」(독문), 「레싱과 고대 그리스 로마 문학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버지니아 비극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연구」 등 독일 문학, 여성적 글쓰기, 수사학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